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약국 소염진통제 종류와 효과, 복용 시 주의점

by hongrose 2025. 7. 10.

소염진통제는 통증과 염증을 줄이는 약물로, 사용 목적과 부작용, 작용 기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뉩니다.

대표적인 소염진통제 종류별 특장점을 알아봅니다.

 

소염진통제 종류

1.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NSAIDs)

대표 약물: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아스피린, 케토롤락, 디클로페낙 등
특징:

  • 염증, 발열, 통증을 모두 완화할 수 있는 약물군입니다.
  • COX 효소(특히 COX-1과 COX-2)를 억제해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줄입니다.
  • 일반적인 두통, 관절염, 근육통, 생리통, 치통 등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장점:
  • 비마약성으로 중독 위험이 없음
  • 빠른 진통 효과
    단점:
  • 위장 장애(위염, 위궤양), 신장 기능 저하, 출혈 위험 가능성
  • 아스피린은 천식 환자에게 금기될 수 있음

 

2. 선택적 COX-2 억제제

대표 약물: 셀레콕시브(Celecoxib), 에토리콕시브(Etoricoxib)
특징:

  • NSAIDs 중에서도 COX-2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염증은 줄이되, 위장관 부작용을 줄인 약물입니다.
  • 골관절염, 류머티즘 관절염 등 만성 염증성 질환에 자주 사용됩니다.
    장점:
  • 일반 NSAIDs보다 위장관 부작용이 적음
  • 장기 복용에 더 적합
    단점:
  • 심혈관계 부작용(심근경색, 뇌졸중 등) 위험 증가 가능성
  • 고가의 약제
  •  

3. 스테로이드성 소염제 (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대표 약물: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메틸프레드니솔론 등
특징:

  • 강력한 항염증 효과를 가지며,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음
  • 자가면역질환, 알레르기 반응, 중증 염증성 질환에서 사용
    장점:
  • 염증 억제 효과가 매우 강력
  • 급성 염증 상황에 빠른 효과
    단점:
  • 장기 사용 시 고혈압, 당뇨, 골다공증, 부신기능 억제, 감염 위험 증가
  • 갑작스러운 중단 시 금단 증상 발생 가능

 

4.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 파라세타몰)

대표 약물: 타이레놀 등
특징:

  • 정확한 작용기전은 불분명하나, 중추신경계에서 통증 조절 효과가 있음
  • 항염 효과는 거의 없고, 주로 진통 및 해열 작용에 사용
    장점:
  • 위장에 부담이 적어 공복에도 복용 가능
  • NSAIDs나 스테로이드에 비해 부작용이 적음
    단점:
  • 간독성 가능성 (특히 고용량 복용 시)
  • 염증 억제 효과는 미미

 

5. 국소 소염진통제 (Topical NSAIDs)

대표 약물: 디클로페낙 겔, 케토프로펜 패치 등
특징:

  • 피부에 직접 바르거나 붙여서 통증 부위에만 국소적으로 작용
  • 근육통, 관절염 등 국소 통증에 주로 사용됨
    장점:
  • 전신 부작용 거의 없음
  • 위장, 신장, 간 부담이 적음
    단점:
  •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으며, 깊은 조직 통증에는 한계 있음
  • 피부 자극 반응 가능

 

소염진통제

약국에서 구입 가능한 소염진통제

1. 타이레놀 (Tylenol, 아세트아미노펜)

특징:

  • 진통 및 해열 효과는 뛰어나나, 염증 억제 효과는 거의 없음
  • 위장 부담이 적고, 공복에도 복용 가능
  • 다양한 함량(160mg~650mg) 및 제형(정제, 시럽, 연질캡슐 등)으로 제공

장점:

  • 소화기계 부작용 적고 안전성이 높아 노약자, 임산부에게도 비교적 안전
  • 감기, 두통, 생리통, 치통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

주의사항:

  • 과량 복용 시 간독성 유발 가능
  • 음주 중이거나 간질환 환자는 복용 주의

2. 이부프로펜 (Brufen, Advil 등)

특징:

  • NSAIDs 계열로, 진통·소염·해열 효과 모두 우수
  • 비처방 제품으로 200mg~400mg 정제, 연질캡슐, 시럽 등이 시판

장점:

  • 관절통, 근육통, 치통, 생리통에 효과적
  • 타이레놀보다 염증 완화 작용이 뛰어남

주의사항:

  • 위장 장애, 속쓰림, 신장 기능 저하 유발 가능
  • 위궤양, 천식 병력 있는 경우 복용 전 전문가 상담 필요

3. 나프록센 (Naproxen / 대표 제품: 낙센)

특징:

  • 중등도 이상의 통증과 염증 완화에 효과적
  • 작용 지속 시간이 길어 8~12시간마다 복용 가능

장점:

  • 생리통, 관절염, 요통 등에 장시간 효과
  • 하루 2회 정도 복용으로 편리함

주의사항:

  • 위장 장애 및 심혈관계 부작용 위험
  • 고령자나 심혈관 질환자는 주의 필요

4. 아스피린 (Aspirin)

특징:

  • 고용량에서는 진통·소염·해열, 저용량에서는 심혈관 질환 예방 효과
  • 일반 진통제 용도 외에도 항응고제로 활용됨

장점:

  • 염증 억제 효과 우수
  • 저렴하고 접근성이 높음

주의사항:

  • 위장 장애 및 출혈 위험이 큼
  • 어린이(특히 바이러스 감염 후)에게는 라이 증후군 위험으로 금기

5. 국소 소염진통제 (파스·겔·크림 형태)

대표 제품: 페인큐, 케토톱, 디펜쿨겔 등
특징:

  • 약물을 피부를 통해 국소 부위에 전달해 염증과 통증을 완화
  • 주로 근육통, 관절통, 타박상에 사용

장점:

  • 위장 부담이 전혀 없음
  • 붙이거나 바르기만 하면 되어 사용이 간편

주의사항:

  • 피부 알레르기, 발진 등의 국소 반응 가능
  • 상처 부위나 점막에는 사용 금지

6. 복합 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 + 이부프로펜 등)

대표 제품: 이지엔6 프로, 펜잘큐, 사리돈 A 등
특징:

  • 2가지 이상의 성분(예: 아세트아미노펜 + 이부프로펜 + 카페인 등)으로 구성되어 복합 작용을 기대
  • 감기약 형태로도 많이 사용됨

장점:

  • 다양한 작용기전으로 진통 효과 상승
  • 두통, 치통, 생리통 등에 빠른 효과

주의사항:

  • 각 성분 중복 복용 주의 (다른 약과 함께 복용 시 겹치는 성분 확인 필수)
  • 카페인 함유 시 수면 방해 가능

 

복용시 주의할 점

1. 아세트아미노펜 (타이레놀)

주의할 점:

  • 간독성 주의: 1일 최대 용량(성인 기준 4,000mg)을 초과하지 말 것
  • 음주 시 복용 금지: 알코올과 병용 시 간 손상 위험 증가
  • 다른 약과의 중복 주의: 감기약, 진통제 등 여러 약에 아세트아미노펜이 포함돼 있을 수 있으므로 성분 확인 필요
  • 간질환 환자: 복용 전 의사 또는 약사 상담 필요

2. 이부프로펜 (부루펜, 애드빌 등)

주의할 점:

  • 공복 복용 금지: 위장 자극이 있으므로 식후 복용 권장
  • 위장 질환자 주의: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병력 있는 사람은 복용 시 위 보호제 병용 고려
  • 신장 기능 저하 환자 주의: 탈수 상태에서도 신장 손상 위험이 있음
  • 천식 환자: 아스피린 천식 병력 있을 경우 복용 금지

3. 나프록센 (낙센 등)

주의할 점:

  • 장기 복용 시 위장 손상 가능: 반드시 식사 후 복용
  • 심혈관 질환자 주의: 장기간 복용 시 심근경색·뇌졸중 위험 증가 가능
  • 항응고제 복용자와 병용 주의: 출혈 위험 증가
  • 수분 섭취 유지: 신장 부담 줄이기 위해

4. 아스피린

주의할 점:

  • 출혈 위험: 위출혈·잇몸출혈·코피 등 출혈 성향 있는 사람은 주의
  • 어린이 금기: 바이러스 감염 후 복용 시 ‘라이 증후군’ 발생 위험
  • 항응고제나 혈압약과 상호작용 가능
  • 공복 복용 피하기: 위장 장애 예방을 위해 식후 복용 권장

5. 스테로이드 소염제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등)

주의할 점:

  • 갑작스러운 중단 금지: 장기 복용 시 체내 부신 기능 억제 발생 → 천천히 감량 필요
  • 감염에 취약: 면역 억제 작용으로 인해 감염 증상이 가려질 수 있음
  • 혈압·혈당 조절 필요: 고혈압, 당뇨, 골다공증 유발 가능성
  • 반드시 의사 처방 하에 복용: 자의로 복용하거나 용량 조절 금지

6. 국소 소염진통제 (파스, 겔, 크림 등)

주의할 점:

  • 상처 부위 사용 금지: 화상, 상처, 습진, 눈이나 점막 부위에 사용 금지
  • 장시간 사용 금지: 피부 자극, 접촉성 피부염 유발 가능
  • 햇빛 노출 주의: 일부 성분(케토프로펜 등)은 광과민 반응 유발 가능
  • 사용 후 손 씻기 필수: 눈 비비거나 음식 만지기 전에는 반드시 손 씻기

7. 복합 진통제 (펜잘큐, 사리돈 A, 이지엔 6 등)

주의할 점:

  • 성분 중복 확인: 복합약은 여러 성분이 섞여 있으므로 타 약물과의 중복 주의
  • 카페인 함유 여부 확인: 불면증, 심장 두근거림 유발 가능
  • 과다 복용 금지: 간·위장·신장 부담 증가
  • 기저 질환자 주의: 간질환, 심장질환, 위장질환이 있는 경우 전문가 상담 후 복용